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창원 LG 세이커스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3-24 시즌에 대한 내용은 창원 LG 세이커스/2023-24 시즌 문서
창원 LG 세이커스/2023-24 시즌번 문단을
창원 LG 세이커스/2023-24 시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펼치기 · 접기 ]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유색배경).svg
창원 LG 세이커스
Changwon LG Sakers
정식 명칭창원 LG 세이커스 프로농구단
영문 명칭Changwon LG Sakers Pro Basketball Team
창단1997년 3월 11일(27주년)
구단명 변천경남 LG 세이커스 (1997~1998)
창원 LG 세이커스 (1998~ )
연고지경상남도 창원시 (1997~ )
운영 법인주식회사엘지스포츠 (1997~ )
모기업LG
구단주조주완[1]
구단주 대행김인석[2]
단장한상욱
감독조상현
주장이관희
구단 사무국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원이대로 470 (중앙동)[3]
홈구장창원실내체육관 (1997~ )
연습 체육관LG세이커스 전용 훈련장[4]
클럽 하우스LG세이커스 전용 훈련장[5]
키트 스폰서프로스펙스
마스코트파일:창원 LG 세이커스 마스코트.svg
챔비
워드마크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워드마크.svg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심볼.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팬 사이트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 파일:changwonlgsakersfanpage.jpg
우승 기록
챔피언 결정전 우승 (0회)
정규 시즌 우승 (1회)
2013-14
컵 대회 우승 (0회)
플레이오프 진출
[ 펼치기 · 접기 ]
챔피언 결정전
(2회 / 2패)
2000-01, 2013-14
4강 플레이오프
(10회 / 2승 8패)
1997-98, 2000-01, 2001-02, 2002-03, 2003-04
2006-07, 2013-14, 2014-15, 2018-19, 2022-23
6강 플레이오프
(9회 / 4승 5패)
1998-99, 2001-02, 2003-04,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4-15, 2018-19
프랜차이즈 구단 기록
[ 펼치기 · 접기 ]
최고 승률.741
2013-14 시즌 54경기 40승 14패
최저 승률.315
2004-05, 2017-18 시즌 54경기 17승 37패
최다 승40승
2013-14 시즌 54경기 40승 14패
최다 패37패
2004-05, 2017-18 시즌 54경기 17승 37패
최고 FA 계약3년 7억 원[1]
2021-22 시즌 이재도
[1] 첫 시즌 연봉

1. 개요
2. 역사
2.1. 우승 기록
2.2. 역대 캐치프레이즈
2.3. 유니폼 및 역대 CI
3. 선수단
4. D리그
5. 관련 기록
5.1. 역대 성적
5.1.1. 역대 플레이오프 상대 전적
5.2. 역대 감독
5.3. 역대 주장
5.4. 역대 MVP 및 신인왕
6. 응원단
7. 인기
8. 사건사고
9. 이야깃거리
9.1. LG 트윈스와의 평행이론
9.2. 경남 FC와의 평행이론
9.3. KBL 타 구단과의 관계
10. 둘러보기
11.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함께하는 창원 LG! 끝까지 세이커스!

LG그룹[6]이 운영하는 KBL의 프로농구단. 연고지는 경상남도 창원시다.[7] 홈구장은 성산구 중앙동에 위치한 창원스포츠파크 내에 있는 창원실내체육관이다. KBL 소속 10개 팀 중 리그 출범 후 팀명, 연고지, 홈구장이 단 한 번도 바뀌지 않은 유일한 팀이다.[8][9]


2. 역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창원 LG 세이커스/역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우승 기록[편집]


KBL 정규리그 우승 팀
2012-20132013-20142014-2015
서울 SK 나이츠창원 LG 세이커스울산 모비스 피버스


2.2. 역대 캐치프레이즈[편집]



2.3. 유니폼 및 역대 CI[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창원 LG 세이커스/유니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2014082101002429500153521.jpg
이천 LG 챔피언스 파크[10] 내에 전시된 LG 세이커스 역대 유니폼
초기에는 LG텔레콤[11]의 광고가 붙어있었으나 최근에는 LG전자 광고가 자주 붙는다. 2005~2006 시즌부터는 홈에는 DIOS 냉장고를 고정하고, 원정에는 휴대폰 브랜드가 붙여진다. 바지에는 LG화학 광고도 부착되어있다. 2013-2014 KBL 정규리그 우승 이후 유니폼 상의 하단에 LG 유플러스 광고가 다시 새겨졌으며 LG 트윈스과 같은 핀 스트라이프 유니폼을 사용을 하기도 했다.

12-13 시즌부터 줄무늬가 들어가기 시작했다. 15-16 시즌부터는 블랙이 들어간 핀 스트라이프로 변경되었다. 특히 원정 유니폼은 형제구단 LG 트윈스의 홈 유니폼과 굉장히 비슷하게 변했다.

19-20 시즌부터 핀 스트라이프가 사라졌다. 원정 유니폼이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바뀌었고 홈에서는 기존의 붉은색(레드)과 함께 형제 야구의 어웨이 유니폼인 검정색(블랙)도 창원 홈경기에서는 번걸아서 착용한다.[12] 그러나 2020-2021 시즌부터 어웨이 유니폼은 다시 흰색으로 회귀했다.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1997~2017).svg파일:195977-2-155652.jpg파일:LG 정규리그 우승 엠블렘.jpg
창단부터 20년간 사용한
첫번째 엠블럼(1997~2017)
창단 10주년 기념 엠블럼
(2006-2007 시즌)
정규리그 우승 엠블럼
(2013-2014 시즌)
파일:LG 세이커스 창단 20주년 엠블렘.jpg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2017~2020).svg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
창단 20주년 기념 엠블럼
(2016-2017 시즌)
20주년 이후 3년간 사용한 엠블럼[13]
(2017.09.01.~2020.07.03.)
현재 엠블럼
LG 세이커스는 LG그룹이 로고 서체를 바꾼 데에 따른 팀명 디자인 변경, ‘세이커스’ 밑부분의 검은 공간 축소나 구단명 위치 조정등 소소한 변경 이외에는 큰 변화 없이 로고의 전통을 이어왔으나, 20-21 시즌부터 '제2의 창단'을 선언하며 23년간 큰 틀을 유지해왔던 기존 CI를 대폭 변경했다. 새로운 CI는 팬 투표를 통해 결정했다.

LG 관계자는 “새로운 선수단, 코칭스태프 개편, 훈련장 이전 등 큰 변화를 줬기 때문에 ‘제2의 창단’이라는 데에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창단할 때부터 써왔던 로고도 잘 만들어진 로고지만, 트렌드에 비해 올드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번 기회에 새롭게 변모하는 팀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고, 얼굴(로고)도 정비하는 게 좋겠다고 판단했다”라고 말했다.#


3. 선수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창원 LG 세이커스/선수단#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550e10,#fff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a50034><colcolor=#fff><width=20%> '''감독''' ||[[조상현|{{{#550e10,#fff 조상현}}}]] || || '''코치''' ||[[김동우(농구)|{{{#550e10,#fff 김동우}}}]] · [[임재현(농구)|{{{#550e10,#fff 임재현}}}]] ·
코치 겸 D리그 감독
[[박유진(농구)|{{{#550e10,#fff 박유진}}}]] ·
컨디셔닝 코치
김찬훈 · 최영재 || || '''스태프''' ||
트레이너
김승찬 ·
스카우터 겸 전력 분석원
[[강병현(1985)|{{{#550e10,#fff 강병현}}}]] ·
통역
김용국 ·
매니저
이창학 || || '''가드''' ||'''{{{#a50034,#fcd205 0}}}''' [[이관희|{{{#550e10,#fff 이관희}}}]] [[주장|
C
]] · '''{{{#a50034,#fcd205 1}}}''' [[유기상(농구선수)|{{{#550e10,#fff 유기상}}}]] · '''{{{#a50034,#fcd205 4}}}''' [[이재도|{{{#550e10,#fff 이재도}}}]] · '''{{{#a50034,#fcd205 6}}}''' [[한상혁(농구선수)|{{{#550e10,#fff 한상혁}}}]] · '''{{{#a50034,#fcd205 7}}}''' [[양준석|{{{#550e10,#fff 양준석}}}]] · '''{{{#a50034,#fcd205 10}}}''' [[윤원상|{{{#550e10,#fff 윤원상}}}]] · '''{{{#a50034,#fcd205 24}}}''' [[이승훈(농구선수)|{{{#550e10,#fff 이승훈}}}]] || || '''포워드''' ||'''{{{#a50034,#fcd205 2}}}''' [[이승우(농구선수)|{{{#550e10,#fff 이승우}}}]] · '''{{{#a50034,#fcd205 3}}}''' [[후안 텔로|{{{#550e10,#fff 텔로}}}]] · '''{{{#a50034,#fcd205 9}}}''' [[정희재|{{{#550e10,#fff 정희재}}}]] · '''{{{#a50034,#fcd205 11}}}''' [[양홍석|{{{#550e10,#fff 양홍석}}}]] · '''{{{#a50034,#fcd205 12}}}''' [[박준형(농구선수)|{{{#550e10,#fff 박준형}}}]] · '''{{{#a50034,#fcd205 13}}}''' [[임동섭|{{{#550e10,#fff 임동섭}}}]] · '''{{{#a50034,#fcd205 14}}}''' [[김준형(농구선수)|{{{#550e10,#fff 김준형}}}]] · '''{{{#a50034,#fcd205 18}}}''' [[저스틴 구탕|{{{#550e10,#fff 구탕}}}]] · '''{{{#a50034,#fcd205 23}}}''' [[정인덕|{{{#550e10,#fff 정인덕}}}]] || || '''센터''' ||'''{{{#a50034,#fcd205 5}}}''' [[박인태|{{{#550e10,#fff 박인태}}}]] · '''{{{#a50034,#fcd205 17}}}''' [[이강현(농구선수)|{{{#550e10,#fff 이강현}}}]] · '''{{{#a50034,#fcd205 31}}}''' [[박정현(농구선수)|{{{#550e10,#fff 박정현}}}]] · '''{{{#a50034,#fcd205 50}}}''' [[아셈 마레이|{{{#550e10,#fff 마레이}}}]] || || '''군 입대''' ||
2023년 입대
[[이광진(농구선수)|{{{#550e10,#fff 이광진}}}]] [[상무 농구단|[[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width=15]]]] · [[김종호(농구선수)|{{{#550e10,#fff 김종호}}}]] || ||<-2><bgcolor=#550e10> {{{-1 [[틀:한국프로농구 선수단 간략|{{{#fcd205 타 한국프로농구 구단 명단}}}]]}}} || ||<-2><bgcolor=#fff,#1f2023> {{{#a50034,#fff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선수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창원 LG 세이커스/선수단|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





4. D리그[편집]


과거 김진 감독 재임 시절 D리그 이전 2군 드래프트로 선수를 수급했으나 구단에서 난색을 표하면서 창단을 하지 못했다.

2018-2019 시즌 현주엽 감독 재임 시절 이규홍 대표이사 권한으로 2차 리그부터 참가하고 있다. 현주엽 시절 당시 김영만 수석코치와 박재헌 코치 및 강혁 코치가 로테이션으로 선수단을 지도했으며, 조성원 감독 부임 이후에는 최승태 코치와 박재헌 코치가 번갈아서 운영을 했다.

2022-2023 시즌은 조상현 감독으로 교체된 이후 전력분석원이었던 박유진 코치가 D 리그 총괄감독을 맡고 있다.


5. 관련 기록[편집]



5.1. 역대 성적[편집]


­우승
­준우승
­포스트시즌 진출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역대 성적
연도정규시즌 순위최종 순위경기수승률
경남 LG 세이커스
97-982/102위4528170.622
창원 LG 세이커스
98-995/105위4525200.556
99-007/107위4520250.444
00-012/10준우승4530150.667
01-025/105위5428260.519
02-032/102위5438160.704
03-046/106위5428260.519
04-059/109위5417370.315
05-068/108위5426280.481
06-072/102위5432220.593
07-086/106위5429250.537
08-095/105위5429250.537
09-104/104위5434200.630
10-115/105위5428260.519
11-127/107위5421330.389
12-138/108위5420340.370
13-141/10준우승5440140.741
14-154/104위5432220.593
15-168/108위5421330.389
16-178/108위5423310.426
17-189/109위5417370.315
18-193/103위5430240.554
19-209/109위42[14]16260.381
20-2110/1010위5419350.352
21-227/107위5424300.444
22-232/102위5436180.667
KBL 통산 26시즌-13566916650.510



5.1.1. 역대 플레이오프 상대 전적[편집]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97-98 4강PO : 1승 3패
13-14 챔프전 : 2승 4패
14-15 4강PO : 2승 3패
4강PO 2패
챔프전 1패

개별 경기 합계 : 5승 10패
원주 DB 프로미98-99 6강PO : 3패
02-03 4강PO : 2승 3패
09-10 6강PO : 3패
10-11 6강PO : 3패
6강PO 3패
4강PO 1패

개별 경기 합계 : 2승 12패
서울 SK 나이츠00-01 4강PO : 3승 2패
22-23 4강PO : 3패
4강PO 1승 1패
개별 경기 합계 : 3승 5패
서울 삼성 썬더스00-01 챔프전 : 1승 4패
07-08 6강PO : 2패
08-09 6강PO : 1승 3패
6강PO 2패
챔프전 1패

개별 경기 합계 : 2승 9패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01-02 6강PO : 2승
18-19 4강PO : 3패
6강PO 1승
4강PO 1패

개별 경기 합계 : 2승 3패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01-02 4강PO : 2승 3패
03-04 6강PO : 2승 1패
14-15 6강PO : 3승 2패
6강PO 2승
4강PO 1패

개별 경기 합계 : 7승 6패
부산 KCC 이지스03-04 4강PO : 3패4강PO 1패
개별 경기 합계 : 3패
수원 kt 소닉붐06-07 4강PO : 1승 3패
13-14 4강PO : 3승
18-19 6강PO : 3승 2패
6강PO 1승
4강PO 1승 1패

개별 경기 합계 : 7승 5패



5.2. 역대 감독[편집]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유색배경).svg창원 LG 세이커스
역대 감독
||
[ 펼치기 / 접기 ]

#20272C,#d3dade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C30452><rowcolor=#ffff00>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width=20%> [[이충희]]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1997~2000)}}} ||<width=20%> [[김태환(농구)|김태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2000~2004)}}}[br][[2000-01 KBL 챔피언결정전|{{{#777777,#888888 ☆}}}]] ||<width=20%> [[박종천(1960)|박종천]]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2004~2005)}}} ||<width=20%> [[신선우]]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2005~2008)}}} ||<width=20%> [[강을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2008~2011)}}} || ||<rowbgcolor=#C30452><rowcolor=#ffff00> 6대 || 7대 ||<bgcolor=#a50034><color=#fff> 8대 ||<bgcolor=#a50034><color=#fff> 9대 ||<|2><bgcolor=#fff,#1f2023>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height=30]] || || [[김진(농구인)|김진]]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2011~2017)}}}[br][[2013-14 KBL 챔피언결정전|{{{#777777,#888888 ☆}}}]] || [[현주엽]]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2017~2020)}}} || [[조성원]]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2020~2022)}}} ||<bgcolor=#e0ffdb,#073300> [[조상현]]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br]{{{-2 (2022~ )}}} ||



[ 역대 감독 경력 펼쳐보기 · 접기 ]
역대이름재임 기간경력비고
초대이충희1997년 ~ 2000년고려대-현대전자 선수
대한민국농구대표팀 선수
대만리그 선수 겸 플레잉코치
1982 뉴델리 아시안게임 금메달 선수
1997-1998 LG 창단 첫 KBL 정규리그 2위
고려대 감독
오리온스 감독
방송해설위원
동부 프로미 감독
2대김태환2000년 ~ 2004년국민은행 감독
중앙대 감독 감독
2000-2001 LG 창단 첫 KBL 파이널 진출
4년 연속 4강 플레이오프 진출
창단 이후 재계약 첫 LG 사령탑
SK 나이츠 4대 감독
3대박종천2004년 ~ 2005년연세대-현대전자 선수
대한민국농구대표팀 선수
현대 다이넷/걸리버스 수석코치
KCC 이지스 수석코치
현대 하이페리온 감독
1982 뉴델리 아시안게임 금메달 선수
전자랜드 블랙슬래머 수석코치-감독
하나외환 감독
구단 역대 최단명 감독
4대신선우2005년 ~ 2008년연세대-현대전자 선수
대한민국농구대표팀 선수
현대 다이넷/걸리버스 감독
KCC 이지스 감독
1982 뉴델리 아시안게임 금메달 선수
1997-1998 & 1998-1999 KBL 현대 다이넷 통합우승 감독
창단 10주년 2006-2007 KBL 정규리그 2위
SK 나이츠 6대 감독
WKBL 총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총감독
5대강을준2008년 ~ 2011년고려대-삼성전자 선수
명지대 감독
대한민국농구대표팀 코치
3년 연속 정규리그 6위 이내 및 3년 연속 6강 플레이오프
MBC스포츠플러스 및 KBS N 스포츠 해설위원
오리온 오리온스 감독
6대김진2011년 ~ 2017년고려대-삼성전자 선수
대한민국농구대표팀 선수
상무 코치-감독
동양 오리온스 창단 코치
동양 오리온스 3대 감독
대한민국농구대표팀 감독
SK 나이츠 5대 감독
2001-2002 KBL 동양 오리온스 통합우승 감독
2002 부산 아시안게임 금메달 감독
2013-2014 LG 창단 첫 KBL 정규리그 우승
2년 연속 4강 플레이오프 진출
LG 역대 감독 중 KBL 감독상 수상
창단 이후 재계약 및 LG 역대 최장수 감독
7대현주엽2017년 ~ 2020년고려대 선수
SK 나이츠 선수
골드뱅크 선수
대한민국농구대표팀 선수
KTF 매직윙스 선수
팀 출신 선수
1994 MBC배 대학농구 우승
2002 부산 아시안게임 금메달 선수
MBC스포츠플러스 해설위원
역대 LG 선수 출신 첫 감독 및 LG 출신 유일 KBL 레전드 12 선정
감독재임기간 중 역대 LG 사령탑 한시즌 역대 최저승 동률 및 최저승률동률
8대조성원2020년 ~ 2022년명지대 선수
현대 다이넷/걸리버스 선수
팀 출신 선수
SK 나이츠 선수
KCC 이지스 선수
KB국민은행 세이버스 코치-감독
수원대 여자부 감독 및 명지대 감독
1998-1999 KBL 현대 다이넷 플레이오프 MVP 선수
2000-2001 KBL 정규리그 MVP
역대 LG 선수 출신 감독
역대 LG 선수 출신 유일의 KBL MVP 출신 감독
재임기간 중 창단 첫 최하위 포함 2년 연속 모두 플레이오프 탈락
9대조상현2022년 ~ 현재연세대 선수
골드뱅크 선수
SK 나이츠 선수
대한민국농구대표팀 선수
KTF 매직윙스 선수
팀 출신 선수
오리온 오리온스 선수-코치
대한민국농구대표팀 코치-감독
1999-2000 KBL SK 나이츠 플레이오프 우승 선수
2002 부산 아시안게임 금메달 선수
2006-2007 KBL 올스타게임 MVP
2015-2016 오리온 오리온스 플레이오프 우승 코치
역대 LG 선수 출신 감독
역대 LG 선수 출신 유일의 KBL 올스타게임 MVP 출신 감독






5.3. 역대 주장[편집]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유색배경).svg창원 LG 세이커스
역대 주장
||
[ 펼치기 / 접기 ]

#20272C,#d3dade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C30452><rowcolor=#ffff00> 1997~1999 || 1999~2000 || 2000~2002 || 2004~2006 || 2006~2009 || ||<width=20%> [[박재헌]] ||<width=20%> [[박규현(농구)|박규현]] ||<width=20%> [[오성식(농구)|오성식]] ||<width=20%> [[김영만(농구)|김영만]] ||<width=20%> [[박규현(농구)|박규현]] || ||<rowbgcolor=#c30452><rowcolor=#fff000> 2009~2010 || 2010~2011 || 2011~2012 || 2012~2016 || 2016~2017 || ||<width=20%> [[강대협]] ||<width=20%> [[조상현]] ||<width=20%> [[김현중(농구)|김현중]] {{{#000000,#ffffff →}}} [[전형수]] ||<width=20%> [[김영환(농구)|김영환]] ||<width=20%> [[김영환(농구)|김영환]] {{{#000000,#ffffff →}}} [[기승호]] || ||<rowbgcolor=#a50034><rowcolor=#fff><bgcolor=#c30452><color=#fff000> 2017~2018 ||<bgcolor=#c30452><color=#fff000> 2018~2019 ||<bgcolor=#a50034><color=#fff> 2019~2022 ||<bgcolor=#a50034><color=#fff> 2022~ || || ||<width=20%> [[조성민(농구)|조성민]] ||<width=20%> [[양우섭]] ||<width=20%> [[강병현(1985)|강병현]] ||<width=20%><bgcolor=#e0ffdb,#073300> [[이관희]] || ||





5.4. 역대 MVP 및 신인왕[편집]


2000-01 정규시즌 MVP 2006-07 올스타전 MVP 2013-14 정규시즌 MVP
No. 10 조성원No. 11 조상현No. 4 문태종
2006-07 신인왕 2013-14 신인왕 2015-16 신인왕
No. 2 이현민No. 15 김종규No. 24 정성우


6. 응원단[편집]


2023-24 시즌 창원 LG 세이커스 응원단
응원단장박민수
장내 아나운서이규래
치어리더송재경, 손지해, 조윤경, 배한비, 감서윤, 금보아, 김나연, 김성아, 김한슬, 박선주








7. 인기[편집]


파일:창원만원관중131222.png
2015년 12월 창원실내체육관 만원관중
파일:6강PO190324.jpg
2019년 6강 플레이오프 경기 중 LG 팬들
1997-1998 시즌부터 2006-2007 시즌까지 연간 총관중 및 평균관중 1위를 기록했던 명실상부 KBL 최고 인기 구단이다. 긴 역사동안 연고이전을 한번도 하지 않으면서 오늘날에도 농구팬들에게 인기팀 엘지-디비-장판으로 묶여불리며 리그 관중동원 순위권을 놓치지 않고 있다.

관중 동원을 우선적으로 보면 1997-98 시즌 이후 7시즌 연속으로 관중 입장 1위를 하였고, 2005-06 시즌에는 연인원으로 첫 100만 관중 돌파, 2007-08 시즌에는 120만명, 2013-14시즌에는 첫 200만 관중 돌파에 성공했다.

코로나 시국을 제외하고는 10개 구단 중 유일하게 단 한번도 홈 평균 관중이 3,000명 미만으로 내려간 적이 없다. 한 번도 연고지를 바꾸지 않은 DB와 전자랜드 그리고 늦게 안양에서 홈경기를 하는 KGC인삼공사와 대구에서 고양으로 연고이전을 한 오리온 오리온스도 평균관중이 2,000명대인 경우가 잦다.[19]

파일:최다관중131225.jpg
크리스마스 최다관중 기록을 세운 2013년 성탄절 경기
2013-2014 시즌 창단 17년 만의 첫 KBL 정규리그 우승 시절에는 한경기 최다관중 신기록을 연일 경신했다. 실제로 2013년 12월 25일 성탄절 창원 홈경기에서는 매진을 넘어 8,689명이나 왔으며, 2014년 3월 9일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는 8,734명이나 왔다. 홈구장인 창원실내체육관의 좌석 정원이 당시에 총 5,350석인 걸 감안하면 엄청난 흥행. 참고로 저 두 경기때의 좌석 점유율은 무려 165%에 달한다. 즉, 이날 관중들 중 약 40%는 입석이라는 소리. 이는 NBA에서조차 나오기 힘든 대기록이다.

인기가 많은 이유로 여러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10년 넘게 창원시의 유일 프로 스포츠 구단이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마산아재 문서를 보다시피, 예나 지금이나 창원시[20]는 도시 규모에 비해서는 즐길 수 있는 오락거리가 별로 없는 곳인데 그 오락거리를 겨울에 세이커스가 어느 정도 채워주었다.[21]

두 번째로는 성적이 좋았기 때문이다. 비록 우승은 한 번도 한 적이 없으나 플레이오프에는 꾸준히 진출하는, 흥행에 있어서는 적당한 성적을 냈다.[22] 실제로 성적이 나오지 않을 때에는 관중이 별로 없지만 잠깐이라도 경기력이 좋아지거나 연승을 달려서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확률이 높아지면 바로 관중이 꽉 찬다.

세 번째는 경기장 위치가 엄청나게 좋기 때문이다. 홈구장인 창원실내체육관은 창원시의 정중앙에 있으며, 창원시의 주요 간선 도로인 원이대로 바로 옆에 있다. 시내버스아주 많이 다니는 곳이기 때문에 창원시 어느 곳에서도 농구장에 접근하는데 아무런 제약이 없다.

네 번째로는 창원시의 농구 인프라가 좋기 때문인데 통합 이전 창원시였던 現 의창구성산구에는 농구 코트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23] 따라서 농구는 창원에서 생활체육으로도 인기를 모으고 있다. 구단 차원에서도 매년 여름 정기적으로 3X3 농구 동호인 대회를 꾸준히 열고 있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부터는 창원에서도 예전만큼의 인기와 영향력이 떨어지고 있다. 성적의 등락이 커지면서 성적부진으로 이어진 점이 크지만 무엇보다도 같은 연고에 생긴 NC 다이노스로 인해 위기를 느끼고 있다. 실제로 2015년 창원시민들과 창원 소재 대학교 학생들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창원시를 대표하는 브랜드단순한 스포츠 팀이 아닌 브랜드를 뽑는 것인데도[24] LG가 아닌 NC를 뽑은 사람들이 두 배 이상 많다. 2017년에는 현주엽 당시 감독이 NC 다이노스를 의식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그리고 2015년 이후에는 신통치 않은 성적과 KBL의 인기가 줄어들면서 평균 관중이 다소 줄어들었고 팀 출신이었던 현주엽 감독이 부임한 첫 시즌이었던 2017-2018 시즌에는 구단 역대 최저성적 동률과 함께 관중 동원력이 더 떨어졌다. 이후 2018-2019 시즌 선전을 통해 구단에서 예능 감각이 있는 현주엽을 미끼(?)로 관중 동원력이 다시 늘었고, 2019-20 시즌에는 현주엽과 선수들이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에 출연하면서 다시 KBL을 대표하는 인기 구단이 되었다. 특히 방송 출연의 영향으로 수도권 등 타지 팬들이 늘어났다는 것이 고무적인 점. 보통 현직 스포츠 팀 감독은 전력 유출 등을 이유로 방송에 고정적으로 나가는 경우는 잘 없는데 의외라는 평이었다.

그러다가 2020년대에 들어서 세이커스의 성적이 더 망하면서 큰 위기가 찾아왔다. 형제팀인 LG 트윈스가 4년 연속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것과 달리 세이커스는 2017-2018 시즌과 2019-2020 시즌 구단 역대 최저성적인 17승(54경기 기준)과 불운의 16승으로 인해 예능으로 홍보했지만 지도자 경력이 전무한 현주엽 감독이 처참한 실패를 한 반면 NC 다이노스는 1군 진입 8년만에 정규시즌에서 우승한 데 이어 한국시리즈까지 우승하면서 창원을 넘어 경상남도 연고 프로구단 최초 우승을 달성하면서 20년 넘게 우승을 한 번도 하지 못한 세이커스와 비교되고 있다. 거기에 20-21시즌에서 LG는 조성원 체제로 사령탑이 바뀌었으나 역대 최저성적의 현주엽 시절의 암흑기를 끝내 극복하지 못하면서 창단 최초 최하위를 하면서 완전히 극과 극의 모습을 보였다. 결국 조상현 감독으로 감독이 또 교체되었다.

물론 예전만큼만 못하다는 것일 뿐, 아직까지 겨울 스포츠로서의 세이커스의 인기는 많다. 현주엽 감독 체제 이후 예능 출연으로 전국구 인기를 얻으면서 재도약의 기회를 만들었고, 같은 연고지의 야구팀 NC 다이노스도 활동 시기가 다르므로 창원 스포츠 팬들에게는 대체재가 아닌 보완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다.[25]


8. 사건사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창원 LG 세이커스/사건사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이야깃거리[편집]













9.1. LG 트윈스와의 평행이론[편집]



9.2. 경남 FC와의 평행이론[편집]


세이커스와 모기업이 같은 트윈스와는 달리 경남 FC는 연고지가 같은 창원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완전 남남이지만, 그럼에도 비슷한 점이 있다.

9.3. KBL 타 구단과의 관계[편집]




10. 둘러보기[편집]


파일:LG 로고 화이트.svg


파일:LG스포츠 로고.png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




11. 관련 문서[편집]



[1] LG전자 대표이사 사장[2] 그룹 내 형제 야구단인 LG스포츠단의 대표이사로 LG 트윈스 대표이사 겸 LG 세이커스 농구단 구단주 대행을 겸직하고 있다.[3] 창원실내체육관 내/전 사무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19-2 서울종합운동장 LG스포츠 사무실 (형제스포츠단인 LG 트윈스 야구단 구단 사무실로 현재 구단 로고 외벽이 붙어있고 가끔 미디어데이로 재활용 중이다.)[4] 창원실내체육관 지하 1층 코트 # 2020년 9월 한국농구연맹의 연고지 정착 계획에 발맞춰 사무국부터 훈련장까지 구단의 모든 시설을 창원으로 이전했다. 선수들도 각자 창원에 집을 구했고, 클럽 하우스는 없어졌다. 이 때문에 훈련장을 기존에 비어 있던 창원실내체육관 지하 1층을 개조해 마련했다.[5] 공식적인 클럽 하우스가 따로 없고, 훈련은 창원체육관의 지하 1층 내 보조경기장에서 한다. 선수단은 자가에서 출퇴근하거나 구단에서 별도로 제공한 숙소를 이용한다.[6] 산하 LG스포츠가 관리하고 있다. 형제 야구단도 마찬가지다.[7] 창원시에는 LG전자 공장이 있다. 특히 이 곳은 LG전자 제품 중에서도 주력 제품군이라고 할 수 있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백색가전의 핵심 생산기지이다. 연고지와 모기업의 연관성이 잘 맞는 대표적 사례.[8] 1997년 처음 참가했을 때는 구단명이 경남 LG였고 경남 FC처럼 경상남도 전체를 연고지 삼아서 창원, 마산, 진주 등을 옮기며 홈경기를 치르다 그 다음 시즌부터는 이름과 연고지 모두 창원으로 고정하였다.[9] 모기업이 바뀌지 않은 서울 삼성 썬더스, 서울 SK 나이츠는 각각 연고지를 이전한 적 있었고, 연고지가 바뀌지 않은 원주 DB 프로미,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는 모기업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다만 정관장은 사연이 있는데 이들 팀의 경우 홈구장 문제 때문에 인근 도시를 전전한 세월이 있다. SBS 스타즈 시절 잠실실내체육관의정부체육관에서의 셋방살이를 거쳐 안양 대림대학교 체육관을 사용한 뒤 2000년 안양실내체육관이 완공된 후 정착해 있다.[10] 2014년 08월부터 창단 시절 서울 방이동 체육관에서 클럽하우스를 이전했다. 현재 방이동 체육관은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한편 2020년 9월 훈련장과 사무국이 연고지인 창원으로 옮겨가면서 이천 LG 챔피언스 파크는 프로야구 LG 트윈스만 쓰는 시설이 됐다.[11]LG 유플러스의 전신.[12] 이는 전자 라이벌인 삼성 썬더스와 비슷하게 간다. 실제로 서울 삼성 썬더스는 어웨이로 흰색 뿐만 아니라 노란색을 입는 경우가 있다.[13] 본사 창립 70주년과 함께 그룹 필체와 SAKERS 필체를 변경했다.[14] 코로나 19로 인해 리그 조기 종료[15] 공교롭게 그 팀들 다 현대모비스(2007년 kt 3승 4패 2014년 LG 2승 4패 2019년 전자랜드(가스공사) 1승 4패)를 넘지 못한 채 준우승에 그치고 만다.[16] 참고로 동양 시절 32연패를 겪었던 당시의 감독이었으며 코치가 김진 이었다 .[17] '챔피언을 향해 비상하는 세이커스'의 줄임말[18] 국내 농구 장내 아나운서 중 최장수 재임자는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장내 아나운서 함석훈 씨로 2002년 인천 신세기 빅스 시절부터 마이크를 잡았다.[19] 다만 DB36만명의 인구수와 옛 체육관 규모가 작은 점 KGC인삼공사는 인구수가 56만명인 점도 감안해야 한다.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의 연고지인 고양시 또한 인구가 100만을 살짝 앞서고 있다.[20] 마산시, 통합 이전 창원시, 진해시로 나누어져 있던 시절과 현재의 통합창원시 시절 모두 다 해당된다. 통합 이전 창원시 시절에도 말만 창원이지 실제로는 마산, 진해, 장유 등 창원 인근 지역 사람들도 통틀어서 응원하는 팀이었고 실제로 구단에서 이들 지역에도 창원과 똑같이 마케팅을 했다.[21] 롯데 자이언츠옛 마산에서 경기를 가끔씩 치렀으나 이마저도 1년에 몇 번 안됐다. 그 뒤 2006년에 경남 FC가 창단됐으나 창원시민 뿐만이 아닌 도민을 위한 구단이었으니 별 반향은 없었다. 결국 세이커스만으로도 만족 못한 창원시민들은 프로야구단을 아예 새로 유치했다.[22] 다만 KBL의 경우는 전체 10팀 중 6팀, 즉 3/5나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것이 크다. 대부분의 리그는 전체 팀 중 거의 절반이나 그 이하만 진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절반만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KBO에서는 한화 이글스(5886899678)나 롯데 자이언츠(8888577)같이 긴 비밀번호가 나왔지만 8팀일 땐 5위까지, 10팀일땐 6위까지 진출했다면 저렇게 긴 비밀번호는 안 나왔을 것이다. 또한 이 팀도 KBL에서 절반만 플레이오프에 진출 가능했다면 03-04시즌과 07-08시즌은 플레이오프 탈락이다.[23] 2000년대 전후로 의창구나 성산구에 위치한 학교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남학생이라면 주말에 창원종합운동장 만남의 광장에서 3X3농구를 하거나 자전거, 또는 롤러스케이트나 스케이트 보드 등을 타거나 혹은 구경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24] NC는 창원에 야구단을 제외하면 크게 접점이 없지만 LG의 경우 창원에 공장들이 있어 스포츠단을 제외하면 LG가 압도적이다. 창원을 대표하는 기업을 뽑는 조사에서는 두산에 이어 2위가 LG였는데도 말이다.[25] NC 다이노스는 KBO 리그 신생팀이자 흥행참패동맹이라는 한계로 인해 전국구 인기팀은 아니지만, 야구가 경기 수도 훨씬 많은데도 프로야구 평균 관중수, 시청률 등이 프로농구의 2~3배 이상 많으므로 비교하는 것 자체가 실례이며 창원시 및 경남권에서는 앞선 설문조사와 같이 인지도를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26] 특히 이래저래 외국인선수 문제로 플레이오프에서 곤욕을 많이 치렀다. 2006-07 시즌 4강 PO 부산 KTF 매직윙스전에서는 강력한 우승후보로 꼽혔지만 용병 퍼비스 파스코가 심판 폭행 사건을 일으켜 즉시 퇴출에 영구제명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물론 팀도 1승 3패로 탈락. 2014-15시즌 4강 PO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와의 리매치에서는 데이본 제퍼슨이 국민의례 도중 비신사적인 행위를 하며 그대로 퇴출, 크리스 매시의 고군분투에도 불구하고 5차전 끝 패배. 2022-23시즌 정규리그 2위를 거두고 만난 4강 PO 서울 SK 나이츠와의 맞대결에서는 아셈 마레이의 부상으로 투입된 레지 페리가 팀에 녹아들지 못하면서 시리즈 스윕 패배[27] 같이 창단한 SK서장훈, 현주엽, 임재현등을 얻은 것과는 대조적이다.[28] 플레이오프에서 kt를 압살하며 챔피언 결정전에서 울산 모비스 피버스와 붙게 되었지만, 김종규가 고전하는 모습을 보이며 데이본 제퍼슨의 맹활약에도 불구하고 2승 4패로 패퇴하며 시즌을 마쳤다.[29] 2006년 드래프트 전체 3순위[30] 2015년 드래프트 전체 6순위[31] 수도권에 대학농구부 팀들이 많아서 불가피하다.[32] 2015~16시즌까지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는 암전으로 선수 소개를 하지 않았으나, 이쪽도 2016~17시즌 마지막으로 암전을 도입했다.[33] 부산 kt 소닉붐, 전주 KCC 이지스,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34] 한국전력과 현대건설의 연고는 지금 행정구역 기준으로는 창원시가 맞는데, 마산실내체육관을 사용했으니 연고로 쓰던 당시 기준으로 따지면 경상남도 마산시 연고다. 또 상무 배구단도 이 두 팀과 함께 마산 임시 연고를 썼던 적이 있다.[35] LG 챔피언스 파크에서 창원실내체육관 사이의 거리가 무려 300km에 달하는 데다가 부산 kt 소닉붐처럼 연고지 안에 제2 클럽하우스가 있는 것도 아니니 정말 선수들 입장에선 홈경기에서 이동이 없다는 이점을 전혀 챙기지 못한다.[36] 원주 DB 프로미 선수단이 연맹에서 연고 정착 지침을 내리기도 한참 전부터 원주에서 훈련하고 생활했지만, 구단 웹 사이트 하단에 나오는 사무국 주소는 여태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이다.[37] NC는 승부조작 사건을 은폐한 적이 있고 경남은 전북 현대와 함께 심판 매수 전력이 있다.[38] 창원 LG 세이커스 : 박종천 (시즌 종료 후 사퇴), 신선우 (KBL 챔피언 실패 이후 계약종료), 강을준 (재계약 검토 중 회선 -> 김진 창단 첫 KBL 정규리그 우승 견인), 현주엽 (역대 최저성적으로 인한 재계약 불발), 조성원 (창단 최초로 10위 및 2년 연속 플레이오프 실패 이후 2+1 계약형태로 인한 사퇴) / LG 트윈스 : 이순철 (시즌 중 사퇴), 김재박 (KBO 포스트시즌 탈락 이후 계약종료), 박종훈 (3+2의 5년 계약 중 2년 종료 후 사퇴/김기태와 양상문으로 KBO 포스트 시즌 진출), 류중일 (3년 계약 종료 및 KBO 챔피언 실패 이후 계약종료), 류지현 (2년 계약 종료 및 KBO 챔피언 실패 이후 계약종료)[39] 다만 조우현은 이적 첫 시즌에는 16번을 달았었다.[40] 창원 LG 세이커스 : 2013-14 시즌 정규시즌 1위, 2014-15 시즌 정규시즌 4위. LG 트윈스 : 2013 시즌 정규시즌 2위, 2014 시즌 정규시즌 4위.[41] 2018-19시즌에는 2017-2018 시즌 창단 이후 역대 최저성적 동률로 완전히 꼴아박던 LG 세이커스는 2019년이 되자마자 갑자기 상승세를 타면서 뒷북이긴하지만 30승까지 찍으면서 2014-2015 시즌 플레이오프 4강 이후 4년만에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LG 트윈스는 2019년 투타가 잘 맞아들어가며 79승으로 3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더니 2020년에도 79승으로 2년 연속 4위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하지만, 모두 우승에는 실패하게 된다.[42] 다만 조성원은 LG보다 현대-KCC 출신 레전드의 이미지가 더 강하다. 조성원의 후임으로 조상현으로 교체되었으며 오리온에서 코치를 했으나 실제로 SK 선수 출신 이미지가 강하다.[43] LG 챔피언결정전 2번 준우승, 경남 FA컵 2번 준우승[44] 2부 성적도 포함한다면 경남 FC의 2017년 K리그2 우승과 창원 LG 세이커스의 13-14 정규시즌 우승 기록으로 정규시즌 우승을 1번씩 했다는 것도 있으나, K리그2는 2부리그이기 때문에 우승해도 최종 우승이 아닌 1부 직행일 뿐이다.[45] 2022년 조상현 감독이 LG 9대 감독으로 부임했지만 경남은 2023년까지 설기현 감독이 그대로 유임중이다.[46] 창원 LG 김종규, 경남 FC 말컹[47] LG는 그 다음 시즌 하위권으로 떨어졌고 2020~2021 시즌 창단 첫 최하위를 기록하게 된다. 경남은 최영준이 떠난 후 승강 PO까지 추락하면서 부산 아이파크에게 패해 강등되었다. 다만 김종규가 이적 후 계속 DB에 있는 것과는 달리 최영준은 중간에 포항으로 임대를 갔고 2022년에 제주 유나이티드로 이적했다.[48] LG는 12~19년까지 핀 스트라이프 세로 무늬 유니폼을 사용했고, 경남은 2006~2009년까지 주황색과 흰색(2009년은 주황색과 검정색) 세로 무늬 유니폼을 사용했다.[49] 2021년 현재 경남은 신대권 응원단장만 남고 다른 응원단으로 교체했다. 2022년에는 LG 치어리더인 이유미 치어리더가 경남 FC를 맡고 있다.[50] 다만 농구 이광진이 LG에 입단할 당시 축구 이광진은 시흥시민축구단에서 사회 복무요원으로 활동하고 있었다.[51] LG 한상혁, 경남 우주성[52] 공교롭게도 야구에서는 LG와 KT가 2023년 한국시리즈에서 맞대결하여 LG가 승리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0:29:23에 나무위키 창원 LG 세이커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